본문 바로가기

취득한 데이터 사이언스와 직,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자격증 모음

빅데이터 분석기사[실기] 후기

 

선 인증과 요약 후 글을 진행합니다.

요약 : 단순 암기 수준으로 패스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.

 

 

이번 시험 실기 합격률은 60%입니다.

출처 : https://cafe.naver.com/sqlpd/19899

 

지난번 필기시험 후기와 같이 길게 작성해보려 했으나

나무위키 정리글이 기대이상으로 잘 되어있으므로

이곳에 나와있지 않은 부분만 정리합니다.

https://namu.wiki/w/빅데이터분석기사

 

단답형 : 

 - ADSP 와 빅분기 필기시험을 통과했다면, 기술통계와 머신러닝 분야의 개념을 이해하고 계실 것입니다.

   그렇다면 한 문제당 약 10초 이내에 답안을 작성하고 쉽게 넘어갈 수 있겠습니다.

   그러나 문항의 문장구조가 간단명료하지 못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. (잘못읽음으로 1문제 틀린 본인의 이야기)

 

작업형 1유형 : 

 - 판다스로 본인 머릿속의 아이디어를 어느정도 구현할 수 있다면 모든 문항을 1 ~ 2분 이내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.

 

작업형 2유형 : 

 - 무지성 기계적인 프로세스로 접근해도 만점받을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.

   그러나 한가지 졔약사항으로는, 전처리 과정과 알고리즘 튜닝에 시간을 소요하는 경우 0점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.

   모든 코드 실행시 1분 제한이라는 제약사항이 있으므로 XGBoost 하이퍼파라미터 튜닝과 같이

   시간소요가 있는 부분은 스킵하고 넘어가야 합니다.' 안해도 된다'가 아니라 '하면 안된다' 입니다.

 

 

 

더 많은 걸 기대했는데, 그렇지 못한 모습을 보여주어 아쉬운 시험입니다.

 

예를 들어 IABAC 외국시험의 경우, 데이터 셋과 상황설명문서를 주고 보고서 제출하라고 합니다.

꼭 기사시험이 아니어도 시험을 오전 9시부터 저녁 7시까지 10시간동안 김밥 도시락 먹으면서 보고서 쓰게 했다면

 만약 시험비가 20만원이었어도 충분히 옥석을 가릴 수 있고 돈 값을 하는 자격이 되었을텐데 아쉽습니다.